반응형
반응형
💋 bit & byte
✔️ 8 bit = 1 byte
1비트 = 0 또는 1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
저장 단위가 1비트 증가할 때마다 저장 단위는 2배씩 늘어난다.
1바이트 = 8비트 = 저장할 수 있는 숫자의 개수는 2^8=256개
✔️ 데이터의 단위
💋 아스키코드: byte로 문자 표현하기
문자를 숫자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아스키코드를 사용한다.
아스키코드는 문자를 '숫자'로 표현하기 위한 약속이다.
아스키코드는 총 기존 128개 + 확장된 128개로, 1바이트(8비트)를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.
💋 자료형이란?
✔️ 개념
자료형은 내가 사용할 데이터의 크기에 맞게 메모리를 할당받는 과정에서, 내가 몇 바이트의 메모리를 사용할 것인지 명시하는 것이다.
✔️ 종류
예를 들어서 정수 short는 2바이트(=16비트)를 사용하는데 그중 1비트는 부호(+,-)를 표현하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플러스마이너스로 2^15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된다.
도움이 되었다면, 공감/댓글을 달아주면 깃짱에게 큰 힘이 됩니다!🌟
비밀댓글과 메일을 통해 오는 개인적인 질문은 받지 않고 있습니다. 꼭 공개댓글로 남겨주세요!
반응형
'C,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++] static 키워드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!: 클래스에서 정적 변수와 정적 함수 사용 방법, 특징, 주의사항 (0) | 2024.05.09 |
---|---|
[C++] const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!: 변수, 포인터, 함수, 파라미터에서 각각 사용되는 const의 의미 파헤치기 (0) | 2024.05.08 |
[C++] Inline Functions: 인라인 함수 왜 쓰지? 사용 방법과 장단점 (0) | 2024.05.07 |
[C++] 참조(Reference)란?: 참조 vs 포인터 vs 일반변수, 반환 타입으로 참조, & 연산자의 사용방법 (0) | 2024.04.29 |
[C++] 생성자(Constructor)의 개념, 생성자 정의하고 호출하는 다양한 방법들, 생성자 오버로딩, 기본 생성자 (0) | 2024.04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