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✔ @PropertySource
@PropertySource 어노테이션은 스프링 ApplicationContext에서 프로퍼티 파일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된다.
✔ 프로퍼티 파일
프로퍼티 파일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설정값들을 저장하는 파일이다.
키-값 쌍의 형태로 작성되며, 각 키는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.
프로퍼티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작성되어 있으며, 일반적으로 `.properties` 확장자를 가진다.
프로퍼티 파일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.
예를 들어,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, 로그 레벨, 파일 경로, 이메일 설정 등의 어플리케이션 전반적인 설정 정보를 프로퍼티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.
✔ 프로퍼티 파일의 이름을 application.properties가 아닌 다른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
원래 `application.properties` 파일은 스프링 부트에서 기본적으로 로드되는 프로퍼티 파일이다.
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`application.properties` 파일이 자동으로 클래스패스에서 검색되어 로드하기 때문에 별도로 `@PropertySource`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`application.properties` 파일을 로드할 필요가 없다.
하지만, 프로퍼티 파일의 이름을 변경할 경우에는 별도로 설정 파일에서 작성해 줘야 한다.
예를 들어, 프로퍼티 파일 이름이 app.properties인 경우에, 아래처럼 PropertySouce 어노테이션에서 파일 경로를 지정하면 된다.
@Configuration
@PropertySource("classpath:/com/myco/app.properties")
public class AppConfig {
@Autowired
Environment env;
@Bean
public TestBean testBean() {
TestBean testBean = new TestBean();
testBean.setName(env.getProperty("testbean.name"));
return testBean;
}
}
💋 참고자료
반응형